ECMA라는 국제 기구에서 만든 표준문서인 ECMAScript의 6번째 개정판이 2015년에 등장했다.나는 2015년 이전에 javascript를 공부했기 때문에 2009년에 배포된 ES5의 문법을 주로 사용했는데, ES16의 발표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1. 변수 선언구분ES5ES6키워드varlet, const특징함수 스코프, 재선언 가능블록 스코프, 재선언 불가(const는 재할당도 불가)// ES5var x = 10;var x = 20; // 재선언 가능// ES6let y = 10;let y = 20; // 오류(재선언 불가)const z = 30;z = 40; // 오류(재할당 불가) 2. 함수 선언 및 화살표 함수구분ES5ES6함수 선언 방식function 키워드 사용=..
Javascript
javascript를 ES5부터 사용해 온 사람이라면 변수를 선언할 때 습관적으로 var를 선언할 것이고 나도 그렇다. ES6부터는 상수를 선언하는 키워드 const와 var를 대체하는 키워드 let이 등장하였고, 더 이상 var를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한다. 그런데 왜일까? 이유는 단순하다 버그와 오류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유만 가지고는 납득이 잘 안 갈 수 있어 흥미로운 예제를 소개한다. function printMatrix(matrix){ for(var i=0; i

return문 return문은 for문의 위치에서 상관없이 탈출하게 된다. 즉, 중첩된 for문 안에서 사용해도 return문의 위치에서 즉시 로직이 중단된다. 실행결과 0 j : 0 j : 1 j : 2 1 break문 break문은 return문과는 다르게 자신이 포함되어 있는 반복문만을 탈출한다. 중첩 반복문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실행결과apple j: 0 grape j: 0 orange j: 0 continue문 continue 제어문은 1회성으로 반복문을 탈출할 때 사용한다. return과 break문과는 다르게 한 번 반복문을 탈출하고 나서 다음 반복문을 실행한다 실행결과apple orange 응용중첩 for문에서 바깥쪽 for문을 건너뛰게 하기 많은 경우는 아니지만, 간혹 중첩 for문을 ..